- 경제부 부부장 할리나, 국가 인구 및 가족 개발위원장 로하니 등 10여명
- 난임센터 견학하며 차병원 치료 기술과 병원 운영 벤치마킹
- 차광렬 글로벌종합연구소장 “말레이시아와 협력해 난임 극복 및 저출산 문제 해결 도울 것"
올해 말레이시아 최초 국립 난임센터(National Subfertility Center) 오픈을 앞둔 말레이시아 정부 대표단이 세계 난임생식의학을 리드하는 차병원의 난임치료 시스템과 병원 운영 방식을 벤치마킹하기 위해 한국을 찾아왔습니다. 여성가족 지역사회 개발부(KPWKM) 방문단은 3월 5일(화)~6일(수) 판교 차바이오컴플렉스(CBC), 분당차병원 및 분당 난임센터 그리고 차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센터 등 차병원 시설을 탐방하며 최신 인프라와 수준 높은 시스템을 살펴봤습니다.
말레이시아 여성가족 지역사회 개발부 방문단이 전광판에 쓰인 환영 인사를 보며 판교 차바이오컴플렉스(CBC) 정문을 들어서고 있다.
이번 방문에는 말레이시아 경제부 부부장 할리나 빈티 야하야(Halina Binti Yahaya)와 국가 인구 및 가족 개발위원장 로하니 압둘 카림(Rohani Abdul Karim)을 비롯해 10여 명의 정부 관계자가 참석했습니다. 이들은 말레이시아의 합계 출산율 감소를 늦추고 난임 치료를 활성화하는데 참고하기 위해 하나부터 열까지 차병원을 꼼꼼히 관찰했습니다.
이들은 차바이오컴플렉스(CBC)에 국내 최초로 세워질 난임 트레이닝센터 공사현장 및 관련 연구시설을 둘러봤습니다. 이어, 5층 회의실에서 차광렬 차병원·바이오그룹 글로벌종합연구소장, 차원태 차헬스시스템 사장, 김영탁 차국제병원장을 만나 난임센터의 최신 동향, 저출산 문제 등에 대한 견해를 나눴습니다.
(좌) 차광렬 글로벌종합연구소장이 말레이시아 관계자와 인사하고 있다.
(우) 김영탁 차국제병원장과 알란 탄영웨이 LaBIVF 관계자가 악수를 하고 있다.
차광렬 글로벌종합연구소장은 “국가적으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려고 나서는 말레이시아 정부와 협력하게 되어 영광스럽게 생각한다”며 “다양한 방식으로 교류해 난임을 극복하고 저출산 문제 해결을 돕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경제부 부부장 할리나 빈티 야하야(Halina Binti Yahaya)는 “말레이시아에서도 차병원 브랜드는 인지도가 높다”며 ”차광렬 연구소장을 직접 만나 들은 이야기들이 국립난임센터를 설립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국가 인구 및 가족 개발위원장 로하니 압둘 카림은 “세계 최초 난자은행을 설립하는 등 글로벌 생식의학계를 리드하는 차병원의 시스템을 말레이시아에 적용하면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각 기관의 발표도 있었습니다. 이경아 생식의학총괄본부장은 세계 최초의 기록을 써 내려온 차병원의 난임생식의학 역사와 성과를, 말레이시아 정부 국가 인구 및 가족 개발위원장 알리아 줄키플리는 말레이시아 센터의 현황과 국립 난임센터 설립 계획 등을 발표했습니다.
말레이시아 방문단은 분당차병원 난임센터 및 차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 센터도 방문했습니다. 최신 난임 치료 프로토콜을 익히기 위해 ▲난임 센터 및 연구실의 레이아웃, 인프라 ▲연구실 최신 장비 ▲간호 관리 ▲행정 구조 및 비즈니스 모델 등을 중점적으로 살펴봤습니다. 또, 임상배아연구원 트레이닝센터 운영 및 착상 전 유전검사(PGT) 협력, 가임력 보존을 위한 난자뱅킹 등에 대한 중장기 차원의 파트너십도 논의했습니다.
(좌) 국가 인구 및 가족 개발위원장 로하니 압둘 카림이 “차병원 견학이 말레이시아 저출산 문제 해결에 큰 길라잡이가 될 것”이라고 발언하고 있다.
(우) 국립 난임센터 벤치마킹 위해 분당차병원 난임센터 및 차 여성의학연구소 서울역 센터에 방문한 말레이시아 방문단
'최고가 되려면 최고에게 배워라'는 말처럼, 말레이시아 방문단은 국립 난임센터 착공을 위해 차병원의 문을 두드렸습니다. 차광렬 글로벌종합연구소장팀은 1989년 세계 최초로 미성숙 난자의 임신과 출산에 성공한 이후 1998년 세계 최초로 유리화난자동결법(난자급속냉동방식)을 개발해 임신과 출산에 성공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1999년에는 세계 최초로 난자은행을 설립해 주목받았습니다. 2014년 하와이에서 열린 미국생식의학회는 난자은행을 난임의 표준치료로 인용했습니다. 작년에는 국내 출생아의 5%가 차병원 난임센터를 통해 태어났습니다. 차병원은 24년 4월 잠실 난임센터를 오픈하고, 국내 최초 난임 트레이닝 센터(판교) 개소를 계획 중에 있습니다. 이처럼 차병원은 오늘도 대한민국을 넘어 세계 난임생식의학의 역사의 한 페이지를 써가고 있습니다.
차광렬 차병원 글로벌종합연구소장(왼쪽 다섯 번째부터)을 비롯해 차원태 차병원·바이오그룹 사장, 김영탁 차 국제병원장, 이경아 차병원 생식의학본부장(왼쪽 두번째), 말레이시아 경제부 부부장 할리나 빈티 야하야(오른쪽 첫번째), 국가 인구 및 가족 개발위원장 로하니 압둘 카림(오른쪽 세번째)이 차바이오컴플렉스 연구시설을 둘러보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